겨울철은 전기차 등 배터리가 들어가 모든 디바이스들에 좋지 않은 계절입니다. 이유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때문입니다.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로 되어 있고, 전해질은 리튬이온이 양극으로 다닐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온도가 많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액체인 전해질의 농도가 진해지면서 내부 저항이 커지고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배터리 기술이 좋아져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강원도 같은 추운 곳을 여행한다면 꼭 배터리 체크는 필수입니다.
그렇다면 겨울철 전기차는 어떻게 관리하는지도 궁금하실것 같습니다. 전기차와 내역 기관차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엔진, 배터리, 모터 인텐 데요. 그 외 전기차도 소품이 있습니다. 특히, 냉각수 (부동액)과 타이어는 모든 차량에서 겨울철 관리해야 하는 소모품입니다. 전기차의 부동액은 배터리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제조사에서 요구하는 키로수와 시간에 따라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충전 시, 난방을 틀어놓으면 전기 차량 자체 온도를 올릴 수 있고 대기 중에도 편안하게 기다릴 수 있습니다. 충전 중에는 충전하고 있는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배터리는 제조사마다 관리 요령이 있겠지만, 현대 기아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가 20% 이하일 경우 완속충전 (급속 충전이 아니라)으로 100%까지 한 달에 한 번은 충전할 것을 권합니다.
보조 배터리를 체크하자.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에 배터리는 동력에 사용한는 배터리와 12V 보조 배터리가 있습니다. 동력을 사용하는 배터리는 계기반에 나오고 차량을 얼마나 달릴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수시로 확인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보조 배터리는 잘 확인하지 않죠. 보조 배터리는 차량의 구동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등에 사용되는데 일반 배터리이기 때문에 수명이 다하면 꼭 교환을 해야 합니다.
'카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스타 3 SUV 공개, feat.안전의 대명사 볼보 (0) | 2022.10.13 |
---|---|
토레스 실용적인 suv 쌍용을 살릴 것인가 (0) | 2022.10.12 |
주정차 금지 구역 이것만 기억하세요 (0) | 2022.10.06 |
기아 EV6 GT 신차 출시 (1) | 2022.10.05 |
페라리 프로산게 공개 (0) | 2022.10.03 |